목차
1.역사주의(Historismus) 사관(歷史主義 史觀)
2.실증주의 사관(實證主義 史觀)
3.마르크스의 유물사관(唯物史觀)
4.상대주의적 사관(相對主義的 史觀)
5.토인비의 문명사관(文明史觀)
6.식민주의 사관(植民主義 史觀)
7.기독교 사관(基督敎 史觀)
본문내용
우리가 흔히 쓰는 역사관 또는 사관이라는 말은 어디서 왔을까? 이 말은 중국사학사에서 유래하지 않고, 역시 우리의 대부분의 용어가 그러한 바와 같이 일본의 학계에서 오지 않았 을까 생각된다. 사관이란 말은 사관이 사관으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던 때부터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. 많은 사관-우리가 사관이라고 규정짓고 그 사관이 사관으로서의 형태를 가 지고 있는 것-이 생겨나면서 그 것들을 정리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용어가 생긴 것이 아닐까?. 사관의 연구는 동양권에서 일 본이 그 첫발을 내딛었기에 일본에서 온 것이 유력 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. 서울대 사학과 차하정 교수는 "사관이란 무엇 인가?"라는 저서 에서 일본학계에서 독일의 베른하임(E. Berheim 1850-1942)의 저서들 예를 들면 {역사연구 와 역사철학}(1880), {역사방법입문}(1889), {역사학개론}(Einleitung in die Geschichtswi- ssenschafe. 1920)을 번역하면서 일본 사학자들이 역사관(Gecshichtsanschauung)이란 말을 썼다고 말한다.